건강보험료는 국민 모두가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사회보험료 중 하나죠. 저는 예전에 회사 다니는 직장인이었을 때는 직장가입자여서- 어차피 월급 받기 전에 자동으로 빠져나가니까 크게 신경 쓰지 않았는데, 이제 프리랜서로 활동하다보니 지역가입자라서 금액 하나하나 굉장히 신경쓰이더라고요.. 우하하. 직장가입자인지, 지역가입자인지에 따라 산정 기준이 다르고 계산 방법도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을 쉽게 이해하고,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
[목차]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과 가입자 유형
일단 건강보험료는 가입자 유형에 따라 산정 방식이 다른데요,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크게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나뉘며, 피부양자는 보험료를 내지 않습니다. 저처럼 프리랜서/디지털노마드로 활동하고 계신다면 대부분 지역가입자 또는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있으실거예요! 저는 현재 해외 체류한지 3개월이 넘은 상태라 건보료 납부가 유예된 상태입니다. 워홀, 해외 장기 체류 등을 하는 분들이라면 출국과 동시에 건보료 납부 예외 신청을 할 수 있으니 이점도 참고해주세요!
- 직장가입자 – 월급(보수월액)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회사와 근로자가 절반씩 부담합니다.
- 지역가입자 – 소득, 재산, 자동차 등 다양한 항목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 피부양자 –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직장가입자에 의해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보험료를 내지 않습니다.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매우 간단합니다. 월급(보수월액)에 건강보험료율을 곱하기만 하면 끝!
- 2024년 건강보험료율 – 7.09% 적용
- 계산식 – 월급 × 7.09% = 월 건강보험료
- 예시 – 월급 300만 원인 경우, 300만 원 × 7.09% = 21만 2,700원 (본인 부담 10만 6,350원)
- 추가 부과 – 연간 2,000만 원 이상의 다른 소득이 있으면 소득월액 보험료가 추가됩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
지역가입자는 소득, 재산, 자동차 등 여러 항목을 점수로 환산해 보험료가 산정되는데요, 다소 복잡하지만 주요 항목만 확인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소득 기준 – 사업, 임대, 금융 소득 등을 합산
- 재산 기준 – 주택, 토지 등 공시가격 기준
- 자동차 기준 – 4,000cc 이하, 4천만 원 이하 자동차는 부과 제외
- 계산식 – (소득 + 재산 + 자동차 점수) × 점수당 금액 = 건강보험료
- 예시 – 연 소득 3,000만 원(월 250만 원), 2억 원 상당의 주택 소유 시 대략 25만 원~30만 원 수준
건강보험료 쉽게 계산하는 방법
근데 사실... 건강보험료 계산하려고 하면 귀찮고 어렵잖아요? 그런 분들(바로 저)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친절하게 예상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모바일 어플을 활용하여 간단한 정보 입력 후 예상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어요 :)
📣 건보료 쉽게 계산하는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보험료 계산기’ 메뉴에서 소득과 재산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 모바일 앱 – 국민건강보험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후 보험료 계산 메뉴를 이용하면 됩니다.
- 4대 보험 계산기 사이트 –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4대 보험 계산기를 이용해도 간편합니다.
- 콜센터 상담 – 국민건강보험공단 콜센터(1577-1000)에 문의하면 본인 상황에 맞는 보험료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피부양자 조건과 보험료 면제 기준
직장가입자의 배우자, 부모, 자녀 등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고 피부양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연 2천만원 이하의 소득을 내고 있거나, 재산세 과세표준 5억 4천만원 이하면 피부양자로 등록될 수 있어요!
- 소득 기준 – 연 소득 2,000만 원 이하
- 재산 기준 – 재산세 과세표준 5억 4천만 원 이하
- 자동차 기준 – 고가의 자동차 소유 시 피부양자 자격 박탈
- 자격 상실 시 –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보험료 납부
건강보험료 산정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가입자 유형에 따른 기본 구조만 이해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직장가입자는 월급에 비례해 간단히 계산할 수 있으며, 지역가입자는 소득과 재산 등을 고려해야 해요. 가장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본문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앱을 이용하는 것이니 본인 보험료 궁금하시면 미리 한번 확인해보세요 :)
갑자기 20만원이요..? 국민연금 납부액 산정 기준 어떻게 될까?
저는 지금껏 국민연금이 월 10만원 이하 정도의 수준이었는데, 이번달에 갑자기 거의 20만원 수준으로 출금이 되었더라고요;; 버는 돈도 별로 없는데.. 왜째서죠..? 국민연금공단에 전화해서 자세
wooltraveler.tistory.com
디지털노마드 현실 어떨까? 솔직한 후기 및 장점과 단점
많은 분들이 디지털노마드를 꿈꾸고 계실텐데요, 사실 디지털노마드가 아니라 디지털노가다다(?)라고 하는 말도 있을 정도로 디지털노마드가 마냥 자유롭고 편한 삶만은 아닙니다. 그런데 그냥
wooltraveler.tistory.com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어떻게 신청할 수 있을까? 청년도약계좌 조건 나이 및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3.28 |
---|---|
개인 회생 방법 및 조건, 비용 총정리 - 이것만 확인하면 끝입니다 ✅ (1) | 2025.02.17 |
강달러 시대! 지금을 활용하자, 달러 투자 방법 BEST 3 이렇게만 하세요 (0) | 2025.02.05 |
주식 입문 기초 - 국장 미장 차이 한국 증시와 미국 증시 어떻게 다를까? (0) | 2025.01.25 |
주식 입문 주식 투자할 때 꼭 알아야 할 주식 용어 리스트 (1) EPS, PER, 배당, 테마주 (1) | 2024.12.21 |